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기자 | 한국 축구는 과연 대륙 최고 대회를 개최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대한축구협회(KFA)는 최근 2031년 아시안컵 유치를 공식 선언했다.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은 연임 성공과 동시에 유치 의향서를 제출하며 대회 개최를 향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정작 국내 K리그 경기장에서는 잔디 상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축구 경기의 기본 요소인 잔디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아시안컵 유치는 과연 실현 가능한 목표일까? K리그 잔디는 '지뢰밭'? 선수들 부상 공포 확산 최근 FC서울과 김천 상무의 K리그1 3라운드 경기가 열린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최악의 잔디 상태로 선수들의 불만을 샀다. 서울 공격수 제시 린가드는 패인 잔디에 걸려 넘어졌고, 선수들은 경기 내내 불균형한 그라운드에서 애를 먹었다. 서울 김기동 감독도 "잔디 문제는 시즌 개막전부터 제기됐다"며 "조기 개막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얼어있는 잔디가 많고, 이는 선수들의 부상 위험을 키운다"고 우려를 표했다. 팬들도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서울시설공단 홈페이지에는 "이런 잔디에서 어떻게 정상적인 경기가 가능하냐"는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인턴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FC서울의 2025시즌 주장으로 선임된 잉글랜드 국가대표 출신 제시 린가드(32)가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 화이트라벨'의 새로운 홍보대사로 선정됐다. 영원아웃도어의 노스페이스는 16일, 린가드가 브랜드의 홍보대사로 발탁되었다고 밝혔다. 린가드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PL)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또한 잉글랜드 대표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2024년, K리그1 서울 유니폼을 입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린가드는 이제 노스페이스 화이트라벨의 얼굴로서 활동을 이어가게 된다. 린가드는 브랜드의 2025년 S/S 시즌 주력 상품인 '솔리드 테크 슈즈'와 'TNF 크루 재킷'을 착용하고 촬영한 화보를 통해 제품 홍보에 나섰다. 영원아웃도어 성가은 사장은 “린가드가 보여준 도전 정신과 진정성 있는 모습은 ‘멈추지 않는 탐험’이라는 브랜드 슬로건과 완벽하게 어울린다”고 말했다. 린가드의 새로운 홍보대사로서의 행보가 많은 기대를 모은다.
TSN KOREA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 Korea) 최민준 인턴기자 | 프리미어리그(PL) 출신 제시 린가드가 K리그1 2025시즌 FC서울의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됐다. FC서울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5시즌 주장으로 린가드를, 부주장으로 김진수를 선정했다”며 김기동 감독의 결정을 발표했다. 구단은 “지난 시즌 임시 주장으로 활약하며 충분한 역량을 보여준 린가드와 풍부한 경험과 헌신성을 지닌 김진수가 주장을 보좌할 인물로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울 유니폼을 입은 린가드는 팀의 부활을 이끄는 동시에 K리그 최초로 50만 관중 돌파라는 흥행 기록을 견인했다. 외국인 선수임에도 임시 주장으로서 성실함과 책임감을 발휘하며 선수단과 코칭스태프 간의 가교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린가드는 주장을 맡은 소감에 대해 “K리그를 대표하는 FC서울의 주장으로 선임되어 영광이다”며 “올 시즌은 쉽지 않은 도전이 되겠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지난 시즌 팬들의 엄청난 응원에 감사드리며, 2025시즌에도 많은 팬들이 경기장을 찾아주시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전북 현대에서 서울로 이적한 직후 부주장으로 발탁된 김진수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2024 K리그1에서 '린가동자' 제시 린가드는 FC서울의 '갓동님' 김기동 감독 아래에서 완벽히 부활했다. 린가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스 출신으로, 잉글랜드 국가대표까지 활약한 '스타' 플레이어다. 그는 2022-2023시즌을 마친 후 한동안 소속팀 없이 지냈으나, 2024년 2월 FC서울과 계약을 체결하며 K리그에 입성했다. 그의 등장 소식은 전 세계 축구팬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서울의 김기동 감독은 린가드 영입 초기, 그의 몸 상태와 태도에 대해 우려를 표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린가드는 예상보다 더 빠르게 K리그에 적응했다. 김기동 감독은 "처음 린가드 영입 이야기를 들었을 때 믿기 어려웠다"며, 구단과 협상 후 린가드의 몸 상태를 점검해보길 권했다고 말했다. 이어 "린가드가 올 가능성이 크다고 하자, '그에게 맞는 돈을 줄 수 있나'라고 물어보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린가드는 서울에 합류한 후 초반 몇 경기에서 부진했지만, 김 감독은 이를 꾸짖기도 했다. 그는 린가드에게 "설렁설렁한다"고 지적하며, 그가 더욱 집중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린가드는 "충분히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프로축구 K리그1 FC서울이 올 시즌 후반기 최고의 관중 흡입력을 발휘하며 '풀 스타디움상'과 '플러스 스타디움상'을 수상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7일 K리그1 27~38라운드, K리그2(2부) 27~39라운드의 관중 유치, 마케팅, 잔디 관리 성과를 평가해 각 부문 수상 구단을 발표했다. 이 시상은 매 시즌 전기, 중기, 후기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클럽상'의 일환이다. 잉글랜드의 축구스타, '린가드 효과'일까? FC서울은 시즌 초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잉글랜드 대표팀에서 뛴 제시 린가드의 영입으로 많은 관중을 동원했다. 홈 개막전에서는 5만명이 넘는 관중이 린가드를 보기 위해 모였다. 그들 모두가 남진 않았지만. 후반기 또한 서울 상암은 뜨거웠다. 서울은 해당 기간 열린 6차례 홈경기에서 평균 2만9천435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K리그1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이전 14~26라운드 평균 관중 1만8천635명에서 1만800명이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관중 증가는 풀 스타디움상과 플러스 스타디움상 동시 수상의 원동력이 됐다. 마케팅과 팬 서비스를 평가하는 '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감독님은 매 경기 분명한 계획이 있는 지도자"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출신의 '스타 플레이어' 제시 린가드(FC서울)가 한국 축구에 완벽히 적응하게 된 공로를 김기동 감독에게 돌렸다. 린가드는 30일 경기도 구리시 GS챔피언스파크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 참가해 "김기동 감독은 축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매 경기 분명한 계획이 있는 지도자"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지난 2월 서울에 입단한 린가드는 '잉글랜드 명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비롯해 EPL 무대에서 활약한 공격수다. K리그 무대에 도전한다는 사실에 린가드는 한국은 물론 영국 언론으로부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다만 린가드는 시즌 개막과 함께 K리그 적응에 애를 먹고, 무릎 부상으로 수술도 받아 초반 힘겨운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하지만 린가드는 김기동 감독과 동료 선수들의 관심과 배려로 한국 축구에 적응을 시작했고, 이번 시즌 5골 2도움을 기록하며 서울의 핵심 공격자원으로 우뚝 섰다. 린가드는 김기동 감독에게 큰 신뢰감을 표시했다. 린가드는 "첫 두 경기를 끝내고 감독님이 세게 비판해준
TSN KOREA (The Sporting News Korea 스포팅뉴스) 온라인뉴스팀 | 경찰이 무면허 상태로 전동 킥보드를 탄 프로축구 FC서울의 제시 린가드를 조사하고 범칙금을 부과했다. 19일 경찰 등에 따르면 린가드는 전날 저녁 서울 강남경찰서에 출석해 전동 킥보드 운전에 대해 진술했다. 경찰은 린가드의 진술과 그가 올린 동영상 등을 토대로 그에게 무면허 운전과 안전모 미착용, 승차정원 위반, 역주행 혐의를 적용해 총 19만원의 범칙금 부과 통고 처분을 내렸다. 앞서 린가드는 지난 16일 자신의 SNS에 전동 킥보드를 타는 영상을 남겼는데, 헬멧을 쓰지 않은 데다 그가 지난해 9월 영국에서 음주운전으로 벌금과 함께 18개월 면허정지 처분을 받아 무면허 운전 논란까지 불거졌다. 경찰은 영상에서 킥보드에 동승자가 있었던 점과 역주행 사실도 확인해 함께 조사했다. 경찰은 린가드의 진술 등을 토대로 음주운전 여부도 들여다보고 있으나 시일이 지나 이에 대한 처벌은 사실상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린가드는 논란이 불거지자 17일 SNS에 "전동 킥보드를 잠시 탔다.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몰랐다. 더불어 운전면허 소지자만 탈 수 있다는 것도 모르고 있었